레이블이 WH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H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2월 9일 일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20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20)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20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20)
2020/02/09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209-sitrep-20-ncov.pdf?sfvrsn=6f80d1b9_4)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 전세계 발생현황
    • 확진환자: 37558명(new: 2676)
  • 중국 발생현황
    • 확진환자: 37251명(new: 2657)
    • 중증환자: 6188명(new: 87) 
    • 사망: 812명(new: 89)
  • 중국외 발생현황
    • 확진환자: 307명(new: 19명)
    • 사망: 1명
    • 확진환자 발생국가: 24개국(미국, 캐나다, 한국, 일본, 러시아, 베트남, 네팔,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스웨덴, 핀란드, 벨기에)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 중국: Very high
  • Regional Level: High
  • Global Level: High

  • 지난 24시간안에 2019-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국가에서 신규환자 보고가 없었다.
  • Diamond Princess 크루즈 여행관련 상황보고
    • 2월 9일 일본 요코하마에 정박중인 DIamond Princess 크루즈 호의 현재 상황에 대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WHO에 제공했다. 2019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진자가 나온 이후에 모든 선원과 승객들은 14일간 격리되어져 있다. 승객들이나 선원들은 그들의 객실에 머물르며 객실을 떠날 때는 마스크를 쓰고 있다. 모든 선원과 승객들은 면밀히 관찰되고 있으며 2019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질환의 의심증상 및 징후가 있을 경우에는 의학적인 검사를 받고있다. 검역기간은 2020년 2월 19일 끝날 예정 이다. 역학적, 환경학적 조사가 계속 이뤄질 예정 이다.
    • 2020년 2월 8일까지 64명의 확진자가 선원 및 승객에서 나왔다. 모든 확진자는 하선하고 요코하마 지역의 감염질환전문병원에 입원되었다. 감염된 승객들과 밀접 접촉자들은 확진자와 마지막 접촉한 이후부터 14일간 격리되어진다. 그리하여 검역기간은 2020년 2월 19일까지 연장되어질 예정이다.



2020년 2월 5일 수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6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6)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6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6)
2020/02/06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205-sitrep-16-ncov.pdf?sfvrsn=23af287f_4)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 전세계 발생현황
    • 확진환자: 24554명(new: 3925)
  • 중국 발생현황
    • 확진환자: 24363명(new: 3893)
    • 중증환자: 3219명(new: 431) 
    • 사망: 491명(new: 66명)
  • 중국외 발생현황
    • 확진환자: 191명(new: 32명)
    • 사망: 1명
    • 확진환자 발생국가: 24개국(미국, 캐나다, 한국, 일본, 러시아, 베트남, 네팔,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스웨덴, 핀란드, 벨기에)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 중국: Very high
  • Regional Level: High
  • Global Level: High

  • 벨기에에서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급성 호흡기질환 확진자가 처음 보고 되었다.
  • WHO와 그 협력국들은 전세계 전략적 준비 및 대응 계획을 개발했다. 그 계획에서는 공중보건 조치에 대한 개요를 말하고 있고 이는 2019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을 준비하기 위해 모든 국가들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계획의 전반적인 목표는 중국과 다른 나라들에서 20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차단하고 모든 국가에서 대유행의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 WHO는 관광 산업과 협력하여 산업분야에서 실제적이고 경험된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앞으로 WHO는 관광업계와 협력하여 국제 건강 규약(2005)의 틀 안에서 이러한 도전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갈 것이다.





2020년 2월 4일 화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5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5)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5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5)
2020/02/05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204-sitrep-15-ncov.pdf?sfvrsn=88fe8ad6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 전세계 발생현황
    • 확진환자: 20630명(new: 3241)
  • 중국 발생현황
    • 확진환자: 20471명(new: 3235)
    • 중증환자: 2788명(new: 492) 
    • 사망: 425명(new: 64명)
  • 중국외 발생현황
    • 확진환자: 159명(new: 6명)
    • 사망: 1명
    • 확진환자 발생국가: 23개국(미국, 캐나다, 한국, 일본, 러시아, 베트남, 네팔,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스웨덴, 핀란드)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 중국: Very high
  • Regional Level: High
  • Global Level: High


  • 지난 24시간안에 2019-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국가에서 신규환자 보고가 없었다.
  • 비지니스부분은 EPI-WIN이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분야이다. EPI-WIN 동료들은 대규모 다국적기업을 포함하는 글로벌 통신회사와 전화회의를 개최했다. 50개국이상이 전화회의에 참여 하였고,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현재 상황보고 및 WHO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제들에 대해 논의 했다:: 공중보건위기에서의 기업들의 역활: 그리고 정확한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






2020년 2월 3일 월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4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4)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4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4)
2020/02/04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203-sitrep-14-ncov.pdf?sfvrsn=f7347413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 전세계 발생현황
    • 확진환자: 17391명(new: 2838)
  • 중국 발생현황
    • 확진환자: 17238명(new: 2838)
    • 중증환자: 2296명(new: 186명) 
    • 사망: 361명(new: 57명)
  • 중국외 발생현황
    • 확진환자: 153명(new: 7명)
    • 사망: 1명
    • 확진환자 발생국가: 23개국(미국, 캐나다, 한국, 일본, 러시아, 베트남, 네팔,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스웨덴, 핀란드)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 중국: Very high
  • Regional Level: High
  • Global Level: High
  • 지난 24시간안에 2019-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국가에서 신규환자 보고가 없었다.
  • WHO는 중국 및 전세계의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현황판(https://who.maps.arcgis.com/apps/opsdashboard/index.html#/c88e37cfc43b4ed3baf977d77e4a0667)을 개발 했다.
  • WHO는 다양한 기구와 개인들로부터 받은 질문에 대해 Q&A 목록을 준비했다.
  • WHO 운영 지원과 물류팀은 보건 전문 기술가들과 함께 “2019-nCoV 키트"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다른 고위험 병원체의 대유행시기에 준비된 치료 키트와 유사한 것이다. 향후 이 키트의 원가 계산, 조달 및 조립이 우선시 될 것입니다.






2020년 1월 30일 목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0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0)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0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0)
2020/01/30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130-sitrep-10-ncov.pdf?sfvrsn=d0b2e480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l  전세계 발생현황
n  확진환자: 7818
l  중국 발생현황
n  확진환자: 7736
n  의심환자: 12167
n  중증환자: 1370
n  사망: 170
l  중국외 발생현황
n  확진환자: 82
n  확진환자 발생국가: 18개국(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베트남, 네팔,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핀란드)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n  중국: Very high
n  Regional Level: High
n  Global Level: High

  • 국제보건규약(IHR 2005)에 따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긴급위원회는 이번 대유행이 국제적 관심의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할지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진행했다.
  • 핀란드, 인도, 필리핀에서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급성 호흡기 질환 확진자가 처음 보고 되었다. 이들 모두는 우한으로 여행한 기왕력을 가지고 있었다
  • 20201 29일에 WHO는 현재 상황에 관련된 3번째 언론 브리핑을 했다.
  • WHO는 현재 대유행을 일으키는 질병명을 “2019 신종코로나 급성 호흡기 질환이라고 부르는 것을 권고 했다. 이러한 이름은 WHO의 신종 인간 감염질환의 명명 규약에 따른 것이다.
  • 이러한 임시 질환명에 대한 승인은 WHO 파트너 기구들, 세계 동물보건기구(OIE), 세계 식품 농약기구(FAO)에 의해 이루어 질것이다. 최종 질환명은 국제 질병 분류체계(ICD)에 의해 제공된다. 바이러스의 공식명칭에 대한 최종 결정은 국제 바이러스 분류위원회에 의해 결정된다.

2020년 1월 29일 수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9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9)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9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9)
2020/01/29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129-sitrep-9-ncov-v2.pdf?sfvrsn=e2c8915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l  전세계 발생현황
n  확진환자: 6065
l  중국 발생현황
n  확진환자: 5997
n  의심환자: 9239
n  중증환자: 1239
n  사망: 132
l  중국외 발생현황
n  확진환자: 68
n  확진환자 발생국가: 15개국(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베트남, 네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n  중국: Very high
n  Regional Level: High
n  Global Level: High

  • 아랍에미레이트에서 4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했고 그들은 우한으로부터 여행 온 관광객들이다.
  • 세계경제포럼과 협력하에 WHO“The Pandemic Supply Chain Network (PSCN)”라는 공공 민간협력체를 세웠다. 그것은 데이터 공유, 시장가시성, 운영조정 및 연결을 추구하는 시장 네트워크입니다
  • 오늘날 PSCN30개 이상의 민간 부문 조직과 10개 이상의 다자 기구와 함께 개인 보호장구(PPE)에 대한 시장 용량 및 위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회의의 첫번째를 시작했다. 이러한 평가는 PPE에 대한 전세계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부합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PPE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시장분석은 202025일까지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 국제 건강 규범(IHR2005)에 따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 nCoV) 긴습위원회는 130일에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수스 박사에 의해 소집되었다







기술적인 관점:여행관련 조언(TECHNICAL FOCUS: Travel advice)

  • WHO127일 국가간 여행에 관련된 조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는 국가간 여행과 관련된 건강문제에 관한 조언 뿐만 아니라 급성 호흡기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일개인 여행자들의 일반적인 조치에 대한 조언들을 포함하고 있다. 출구 심사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서) 2019 nCoV가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시행되야만 할 것이라고 권고된다. 출구조사에서는 38도이상의 발열, 기침과 같은 증상 징후가 체크되어야 하며 유증상 및 고위험환자들과 접촉 및 노출된 환자들에 대한 기왕력 점검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과거의 발병 사례에서 나온 증거로는 입국 심사의 효과는 불확실 하다고 나왔지만, 해당 국가/지역 여행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급성 호흡기 감염의 일반적인 위험을 낮추고,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험 조절을 위한 도움이 될수 있다
  •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최근의 대유행 기간 동안, 보고된 상당수의 케이스들은 일부국가에서 입국심사에서 스크리닝되었다. 유증상자들은 입국시의 발열검사로 최초 감지되고 이후 의학적 검사 및 실험실적 검사를 통해 확진되어질 것이다. 입구에서의 발열 검사는 무증상환자 나 여행중의 발열을 숨기는 환자를 놓칠 수 있으며 상당한 투자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영향 받는 지역에서 직접 비행을 목표로 하는 집중적인 접근법은 더 효과적이고 자원 수요도 적을 수 있다. 입구에서의 발열검사가 시행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입구에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배포해야 합니다. 이는 여행자 사이에 질병의 징후와 증상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언제 진료를 받을지 등 건강관리에 대한 행동을 장려하고, 여행 이력을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포스터나 전단지, 전자기시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발열 검사를 수행할 때, 각 국가들은 국가의 정책 및 수행역량을 고려해야 한다. 발열검사를 시행하는 국가들은 스크리닝 방법, 스크린된 여행객중 확진환자, 스크린된 환자의 수의 분석과 데이터 수집에 관한 적절한 메커니즘을 세울 것을 권장한다.
  • WHO는 이 이벤트에 대해 현재 이용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간의 이동제한을 적용하지 말것을 권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