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30일 목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0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0)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10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10)
2020/01/30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130-sitrep-10-ncov.pdf?sfvrsn=d0b2e480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l  전세계 발생현황
n  확진환자: 7818
l  중국 발생현황
n  확진환자: 7736
n  의심환자: 12167
n  중증환자: 1370
n  사망: 170
l  중국외 발생현황
n  확진환자: 82
n  확진환자 발생국가: 18개국(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베트남, 네팔,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핀란드)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n  중국: Very high
n  Regional Level: High
n  Global Level: High

  • 국제보건규약(IHR 2005)에 따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긴급위원회는 이번 대유행이 국제적 관심의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할지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진행했다.
  • 핀란드, 인도, 필리핀에서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급성 호흡기 질환 확진자가 처음 보고 되었다. 이들 모두는 우한으로 여행한 기왕력을 가지고 있었다
  • 20201 29일에 WHO는 현재 상황에 관련된 3번째 언론 브리핑을 했다.
  • WHO는 현재 대유행을 일으키는 질병명을 “2019 신종코로나 급성 호흡기 질환이라고 부르는 것을 권고 했다. 이러한 이름은 WHO의 신종 인간 감염질환의 명명 규약에 따른 것이다.
  • 이러한 임시 질환명에 대한 승인은 WHO 파트너 기구들, 세계 동물보건기구(OIE), 세계 식품 농약기구(FAO)에 의해 이루어 질것이다. 최종 질환명은 국제 질병 분류체계(ICD)에 의해 제공된다. 바이러스의 공식명칭에 대한 최종 결정은 국제 바이러스 분류위원회에 의해 결정된다.

2020년 1월 29일 수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9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9)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9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9)
2020/01/29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129-sitrep-9-ncov-v2.pdf?sfvrsn=e2c8915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l  전세계 발생현황
n  확진환자: 6065
l  중국 발생현황
n  확진환자: 5997
n  의심환자: 9239
n  중증환자: 1239
n  사망: 132
l  중국외 발생현황
n  확진환자: 68
n  확진환자 발생국가: 15개국(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베트남, 네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아랍에미레이트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n  중국: Very high
n  Regional Level: High
n  Global Level: High

  • 아랍에미레이트에서 4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했고 그들은 우한으로부터 여행 온 관광객들이다.
  • 세계경제포럼과 협력하에 WHO“The Pandemic Supply Chain Network (PSCN)”라는 공공 민간협력체를 세웠다. 그것은 데이터 공유, 시장가시성, 운영조정 및 연결을 추구하는 시장 네트워크입니다
  • 오늘날 PSCN30개 이상의 민간 부문 조직과 10개 이상의 다자 기구와 함께 개인 보호장구(PPE)에 대한 시장 용량 및 위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회의의 첫번째를 시작했다. 이러한 평가는 PPE에 대한 전세계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부합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PPE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시장분석은 202025일까지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 국제 건강 규범(IHR2005)에 따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 nCoV) 긴습위원회는 130일에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수스 박사에 의해 소집되었다







기술적인 관점:여행관련 조언(TECHNICAL FOCUS: Travel advice)

  • WHO127일 국가간 여행에 관련된 조언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는 국가간 여행과 관련된 건강문제에 관한 조언 뿐만 아니라 급성 호흡기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일개인 여행자들의 일반적인 조치에 대한 조언들을 포함하고 있다. 출구 심사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서) 2019 nCoV가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시행되야만 할 것이라고 권고된다. 출구조사에서는 38도이상의 발열, 기침과 같은 증상 징후가 체크되어야 하며 유증상 및 고위험환자들과 접촉 및 노출된 환자들에 대한 기왕력 점검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과거의 발병 사례에서 나온 증거로는 입국 심사의 효과는 불확실 하다고 나왔지만, 해당 국가/지역 여행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급성 호흡기 감염의 일반적인 위험을 낮추고,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험 조절을 위한 도움이 될수 있다
  •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최근의 대유행 기간 동안, 보고된 상당수의 케이스들은 일부국가에서 입국심사에서 스크리닝되었다. 유증상자들은 입국시의 발열검사로 최초 감지되고 이후 의학적 검사 및 실험실적 검사를 통해 확진되어질 것이다. 입구에서의 발열 검사는 무증상환자 나 여행중의 발열을 숨기는 환자를 놓칠 수 있으며 상당한 투자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영향 받는 지역에서 직접 비행을 목표로 하는 집중적인 접근법은 더 효과적이고 자원 수요도 적을 수 있다. 입구에서의 발열검사가 시행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입구에 위험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배포해야 합니다. 이는 여행자 사이에 질병의 징후와 증상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언제 진료를 받을지 등 건강관리에 대한 행동을 장려하고, 여행 이력을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포스터나 전단지, 전자기시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발열 검사를 수행할 때, 각 국가들은 국가의 정책 및 수행역량을 고려해야 한다. 발열검사를 시행하는 국가들은 스크리닝 방법, 스크린된 여행객중 확진환자, 스크린된 환자의 수의 분석과 데이터 수집에 관한 적절한 메커니즘을 세울 것을 권장한다.
  • WHO는 이 이벤트에 대해 현재 이용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간의 이동제한을 적용하지 말것을 권고한다.


2020년 1월 28일 화요일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8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8)


WHO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상황보고서-8

(Novel Coronavirus (2019-nCoV) situation reports-8)2020/01/28

 * 이 글은 WHO 홈페이지의 신종코로바이러스 현황 관련 글(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coronaviruse/situation-reports/20200128-sitrep-8-ncov-cleared.pdf?sfvrsn=8b671ce5_2)을 번역 및 편집한 것입니다.


발생현황(SITUATION IN NUMBERS)
l  전세계 발생현황
n  확진환자: 4593
l  중국 발생현황
n  확진환자: 4537
n  의심환자: 6973
n  중증환자: 976
n  사망: 106
l  중국외 발생현황
n  확진환자: 56
n  확진환자 발생국가: 14개국(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베트남, 네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캄보디아, 스리랑카.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WHO 위기 대응 단계(WHO RISK ASSESSMENT)
n  중국: Very high
n  Regional Level: High
n  Global Level: High

  •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20201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났다. 그들은 이번 집단발병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제하겠다는 그들의 약속을 되풀이 했다.
  • 번 논의에서는 우한에서의 격리 조치의 개선, 다른 도시 및 지방의 공중 보건조치의 강화, 바이러스에 대한 추가 연구 및 전염성에 대한 연구 수행, 데이터 공유 및 중국이 WHO와 생물학적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지속적인 협력에 관한 내용에 중점을 두어 논의 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이번 바이러스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 백신과 치료법의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 WHO는 회원국들에게 공중보건 임상 반응을 알리기 위해 익명의 임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Global 2019-nCoV임상 데이터 플렛폼을 시작했다
  • WHO는 지속적으로 개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사무처장은 필요한 경우 매우 빨리 응급위원회를 소집할 것입니다. 위원회의 위원들에게는 규칙적으로 개발 내용이 통보되고 있다.





기술적인 관점:임상 관리 (TECHNICAL FOCUS: Clinical Management)

  •  2019신종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은 다양한 증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은 경증을 보이나 20%의 환자에 있어서는 폐렴, 호흡부전등과 같은 중증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사망하는 경우도 보이고 있다.
  • 2019-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의심환자의 임상치료는 조기 인지, 즉각적인 격리(분리), 적절한 감염 예방 및 통제 및 최적화된 지원을 제공받아야 한다. WHO는 임상관련 발표와 치료적 중재에 관해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전세계 전문가와 격주로 전화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 WHO는 입원환자와 집에서의 경증의 환자에 관한 임상진료 지침을 발표했으며, 웹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회된 임상 사례 기록양식을 개발했다. 표준화된 임상 데이터의 수집을 촉진시키기 위해 WHOGlobal 2019-nCoV 임상데이터 플랫폼을 출시하여 회원국들에게 공중 보건 임상반응에 대해 알리기 위해 익명화된 임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2019-NCoV에 대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WHOR&D blueprint는 잠제적인 치료제를 평가하고 전세계적으로 이를 가속화하는데 필요한 마스터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시행하고 있다.
  •   WHO 2019-nCoV 환자치료에 필요한 생의학 장비, 의약품 및 용품의 필수 목록이 포함 된 질병 상품 패키지도 업데이트했다
  • 또한 응급의료팀 네트워크에 알람이 전해져서 임상 운영 지원 팀이 심사, 소개 시스템, 임상 치료 및 IPC에 지원할 수 있도록 관심을 표현하도록 했다.